본문 바로가기
IT Devices

[ds918+] ds918+ 기본 설치 및 소프트웨어 설정

by 악마근육남 2019. 6. 8.
반응형

[설치시작]

개봉은 했고 이제 설정 시작.. 하 집에 먼지가 많은가 아님 제품이 검은색이라서 그런가 먼지가 엄청 눈에 띈다. 하 집앞에 건물 공사하는데 그래서 더 먼지가 많나 암튼 일단 설정 시작 해보자

ds918+ 에서 9가 의미하는것은 최대 9개의 저장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는 뜻이라는데 흠 일단 눈에 보이는 HDD 베이는 총 4개이다. 나는 일단 하나만 사용하기로 했다. 미러링은 할까 말까 너무 고민임 ㅠㅠ 어쩌징 일단 그건 나중에 생각해 봐야겠다. 

이제 나스에 삽입될 나의 3테라 2006년도 부터의 사진이 다 저장되 있었는데 나스에 활용하기 위해서 다른하드에 데이터를 백업해놨다. 나스에 설치 후 그 데이터를 다시 마이그레이션 할 예정이다. 

삽입!!!!!

전원선도 연결해주고

랜선까지 연결해주면 물리적으로 해줄건 없다. ㅠㅠ 내 아이피 타임 공유기가 열일 하고 있다. 플스에 티비에 btv 모뎀이랑 이제는 나스까지 돈주고 사서 뽕 뽑는듯.

[소프트웨어 설정]

하드웨어 설저을 마쳤으면 브라우저에서 find.synology.com 에 접속하면 알아서 주위의 나스를 검색해서 보여준다. 거기서 "연결" 버튼 누르면 설정 시작~!

뭐 이런 동의서 동의해주고 진행한다.

이뭐야 그냥 설정 됐담!!! 이렇게 간단한 것이었나?? 나스란 뭔가 엄청 긱한건줄 알았는데 핸드폰 처음 받고 설정하는거 보다 간단하다.

하드에 시놀로지 나스의 운영체제도 알아서 설치한다.

그리고 나의 3테라 하드도 알아서 재 설정중 이때 디스크 안의 내용은 다 지워지니 중요한 자료가 있으면 꼭 백업해 두어야 한다.

운영체제랑 하드가 설정이 완료되면 계정을 설정한다. 맘에 드는걸로 입력!! 안까먹는걸로 입력!!!

뭐 이건 시놀로지 계정에 대한 동의서~ 고고

퀵 커넥트란 일종의 홈페이지 주소이다. 원래 이런 네트워크 기기들은 IP 주소를 가지는데 이게 일반 사용자 입장에서는 익숙하지 않은게 사실이다. 그래서 나스에 연결할때 IP 주소를 입력하는것이 아니라 시놀로지 나스 ip랑 퀵커넥트 연결을 만들어 마치 주소창 google 치고 들어가듯이 만들어 주는 서비스이다. 이런점에서 시놀로지가 다른 나스 제조사들을 압도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와우~!

이제 시놀로지 운영체제에서 처음잡힌 내 HDD 볼륨을 인식시켜 준다. 끝!!!!!

 

[시놀로지의 앱스토어]

패키지라는 이름의 시놀로지의 앱스토어이다. 시놀로지의 강점이다. 일일이 소프트웨어를 찾아서 다운받고 설치하고 설정하고가 아니라 패키지 센터에서 필요한것을 클릭한번으로 설치할 수 있다.

나는 일단 필수 적인 목적이었던 dsfile dsphoto dsvideo 설치했다. 엄청나게 많은 기능들이 있는데 차차 하나하나 다 써볼 예정이다.

일단 큰돈 들여 설정해 놨으니 가족들이나 친구들도 붙어서 사용하게 해서 활용도를 극대화 해야겠다. 

 

반응형